“혹시 내수차별?” 기아 EV5, 국내형과 중국형 충격적 차이 드러났다
2023 기아 EV 데이
EV5 국내 사양 공개
중국 모델과 차이는?

본격적인 보급형 전기차 시대의 막이 열린다. 앞서 중국 시장에서 먼저 공개된 기아 준중형 전기 SUV ‘EV5’는 한화 약 2,900만 원대에 불과한 저렴한 시작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당초 중국 전용 모델로 개발된 EV5는 국내 및 주요 글로벌 시장에도 출시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했는데,
사양 및 가격은 중국 버전과 다를 것으로 예고됐다. 기아는 12일 ‘2023 기아 EV 데이‘를 통해 EV5 실물을 공개하고 내수 사양의 스펙을 일부 공개했다. 과연 중국 모델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내외관 디자인은 동일
1열 마사지 시트 탑재
EV6, EV9에 이어 기아의 세 번째 전용 전기차인 EV5는 현대차그룹 전기차 아키텍처 ‘E-GMP’를 적용한 최초의 전륜구동 기반 모델이다. 정통 SUV 스타일의 각진 외관은 중국 사양과 동일한 모습이다. 센터 콘솔을 덮는 조수석 벤치형 시트, 그 주위에 배치된 수납공간 등 실내 디자인 역시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주목할 만한 사양이 대거 탑재된다.
마사지 기능으로 피로를 줄여 줄 운전석 릴렉션 시트가 적용되며 완전 평탄화가 가능한 2열 폴딩 시트, 센터 콘솔 후방 슬라이딩 트레이 및 조수석 시트 후면 테이블로 활용도를 극대화한다. 중국 사양의 경우 옵션에 따라 센터 콘솔 트레이에 냉온장 기능을 더할 수 있는데, 국내에도 동일 옵션이 마련될지 기대를 모은다.


활용도 높은 트렁크
EV9 ‘이 사양’ 적용
공조 시스템은 운전석, 조수석, 2열까지 세 곳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3존 공조, 에어컨 악취 저감 효과가 있는 애프터 블로우가 적용된다. 트렁크는 널찍한 테일게이트와 함께 바닥 가변형 러기지 보드를 탑재한다. 해당 사양은 반자동 팝업 및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해 물품 적재 시 및 아웃도어 활동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다.
EV9에 먼저 적용된 ‘파노라믹 와이드 디스플레이’도 적용된다. 각각 12.3인치 크기의 디지털 클러스터 및 센터 디스플레이와 그 사이에 추가된 5인치 공조 디스플레이로 한층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현대차그룹 최신 ccNC 시스템으로, 광범위한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기능을 지원한다.


중국형보다 낮은 성능?
국내 출시는 2025년
EV5 내수형 모델은 중국 판매 사양과 마찬가지로 스탠다드 전륜구동, 롱레인지 전륜구동 및 사륜구동 등 세 가지 파워트레인 구성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다만 롱레인지 사륜구동 사양의 배터리 용량은 중국 사양(88kWh)과 달리 81kWh로 줄어든다. 합산 출력 역시 중국 사양은 230kW(약 313마력)이지만 내수형은 195~225kW(약 265~306마력)로 소폭 줄어든다. 대신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탑재되는 중국 사양과 달리 리튬이온(NCM) 배터리를 탑재한다는 차이가 있다.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에 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나 중국 CLTC 기준으로는 650km를 목표로 한다. 업계는 국내 사양이 400km 후반~500km 초반 수준을 인증받을 것으로 내다보는 분위기다. 한편 기아는 전기차의 대중화를 선도하고자 EV5와 EV3, EV4 등 보급형 모델의 가격대를 3만 5천~5만 달러(약 4,685만~6,693만 원)로 출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EV5의 국내 출시 시기는 2025년 상반기가 유력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