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으로 사망한 대한항공 승무원, 승객들은 아예 몰랐던 사실 밝혀졌습니다
① 우주방사선으로 인한 위암 산재
26년간 항공 객실에서 근무하다 위암으로 사망한 대한항공 승무원이 우주방사선 노출로 인한 산업재해를 인정받았습니다.
지난 6일 근로복지공단에 따르면 서울남부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는 대한항공에서 객실 승무원으로 일했던 고 송 모 씨의 위암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했는데요.
우주방사선으로 인한 위암 산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고인은 2021년 4월 16일 위암 4기를 진단받고 같은 해 5월 8일 53세의 일기로 사망했습니다.
유족은 고인의 첫 산재 신청에서 불승인을 받고 2년 넘게 재심을 진행했다고 밝혔는데요.
심사 과정에서는 고인의 피폭량과 업무 내용, 질병의 상관관계 등이 쟁점이 됐습니다.
송 씨는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1천22시간씩 비행기를 탔습니다. 그중 절반가량은 미주·유럽으로 장시간 비행을 했는데요.
해당 노선은 북극항로 통과 시 대기의 부족으로 우주방사선 영향이 5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주방사선은 대기권 밖 우주 공간에서 들어오는 방사선으로, 주로 북극항로나 높은 고도에서 운항할 때 피폭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일상생활에서는 큰 영향이 없지만 비행기를 자주 타는 승무원에게는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비행기 안에서와 같이 높은 고도에서 장시간 머물 경우 피폭량이 커집니다. 승무원들은 무방비 상태로 우주방사선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기내에서 주로 영향을 주는 것은 엄청난 고에너지를 가진 입자 형태의 은하방사선입니다. 피폭의 95%가 은하방사선 때문으로 알려져 있죠.
우리나라에서는 미주나 유럽으로 향하는 장거리 비행 노선에서 비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북극항로를 통과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북극 지역은 우주방사선을 막아줄 대기가 희박하기 때문에, 신체에 우주방사선의 영향이 5배 이상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② 승무원 사망에 대한 대한항공 입장
대한항공은 이와 관련해 승무원 누적 피폭 방사선량이 안전 기준인 연간 6mSv(밀리시버트)를 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산재 신청인의 질병과 우주방사선과의 상관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는데요.
하지만 위원회는 대한항공 승무원의 누적 방사선량이 과소 측정됐을 수 있다고 판단했는데요.
업무상 불규칙한 생활 등을 했다는 점에서 상병과 업무 간 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국토교통부가 마련한 ‘승무원에 대한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규정’에 따르면 승무원의 피폭 방사선량은 연간 누적 50mSv, 5년간 100mSv를 넘으면 안됩니다.
국토부는 지난 2021년 5월 연간 6mSv로 기준을 강화했는데요. 임신한 여승무원의 피폭량 한도는 2mSv 이하에서 1mSv 이하로 낮춰졌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항공 승무원의 최대피폭선량은 평균 5.42m㏜ 수준입니다.
일반인이 선량한도인 1m㏜보다 5배 이상 높은데요.
정부는 항공 승무원이 연간 6mSv 이상 피폭되면 비행 노선이나 횟수를 조정하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2021년 7월 연간 피폭량이 허용 기준에 가까워지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단거리 노선 또는 북극항로가 아닌 노선에 배정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우주방사선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에 나서겠다고 전했습니다.
승무원의 업무 환경은 우주방사선에 쉽게 노출될 수밖에 없지만 관련 규정이 원안위와 국토교통부 등으로 나뉘어 있는 등 관리가 소홀하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그러던 중 2018년 대한항공 승무원이 백혈병 산업재해 신청을 한 이후 제도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국회 등에서 제기됐는데요.
2021년 원안위에서 우주방사선 안전관리를 일원화하는 것으로 합의됐죠.
지난해 6월에는 우주방사선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생방법이 국회에서 개정됐습니다.
③ 타사 대비 피폭량 최대 5배
대한항공 승무원의 연간 우주방사선 피폭선량이 국내 주요 항공사 승무원들보다 최대 5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8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재호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대한항공 소속 운항승무원과 객실 승무원의 연평균 우주방사선 피폭선량은 각각 2.150mSv(밀리시버트)와 2.828mSv로 파악됐는데요.
대한항공 승무원의 우주방사선 피폭량은 에어부산 승무원의 피폭량보다 4~5배 높은 수치입니다.
아시아나항공 운항승무원과 객실 승무원의 연평균 우주방사선 피폭량(각각 1.623mSv와 1.869mSv)보다 높았는데요.
7개 국제항공운송사업자 전체의 연평균 피폭선량(운항승무원 1.165mSv, 객실 승무원 1.358mSv)보다도 2배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한항공 측은 “매월 승무원 개인의 최근 12개월간 누적 방사선량을 계산해 사내 임직원 정보 사이트에 올린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