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팰리세이드, 2.5 하이브리드 탑재에.. 기존 오너들 결국 초비상
현대차 2.5 터보 하이브리드
그간 소문만 무성했지만
최근 양산 공식화됐다

현대차그룹은 1.6L 가솔린 자연흡기, 2.0L 가솔린 자연흡기, 1.6L 가솔린 터보 등 크게 세 가지 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주력은 1.6L 터보로 준중형 SUV부터 준대형 세단, MPV 등 다양한 세그먼트에 탑재된다.
1.6L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합산 최고 출력 230~245마력의 넉넉한 성능을 내지만 최근 그 한계가 지적됐다. 카니발 하이브리드에도 이 엔진이 적용됐는데, 연비 기준 미충족으로 친환경차 인증을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2년 후에는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아 노조 소식지에 언급
2025년 양산 목표로 개발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5년 한층 강력한 2.5L 가솔린 터보 엔진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기존 1.6L 터보 하이브리드의 아쉬운 출력과 연비를 보완하고 고성능 및 대형 차량에 탑재하겠다는 계획이다. 작년 이맘때부터 업계에서 이러한 소문이 돌았으나 최근 기아 노조가 이를 공식화했다.
기아 노조는 소식지를 통해 “전동화 시대로 변화됨에 따라 PT(파워트레인) 부문 조합원들의 고용 안정을 위해 세타 3 T-GDI 엔진 전개에 대한 사측의 투자를 쟁취했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세타 3 엔진 기반 2.5L 가솔린 터보와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를 합해 연 11만 대 규모의 생산이 예정됐다. 현대차 역시 비슷한 물량을 울산 공장에서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팰리세이드 후속에 탑재
대형차 위주로 적용될 듯
새로운 2.5L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할 첫 신차는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팰리세이드(개발명 LX3)가 될 유력하다. 현행 모델은 3.8L V6 가솔린과 2.2L 4기통 디젤 모델만 판매되는데, 신형은 순수 내연기관 사양이 제외될 예정이다. 2025년 시행될 유로 7 배출가스 규제를 준수하기 위함이다.
이 밖에도 향후 출시될 현대차그룹 대형 라인업에 2.5L 터보 하이브리드가 탑재될 것으로 기대된다. MPV 모델인 기아 카니발, 현대차 스타리아 역시 마찬가지다. 아울러 해외 시장 중 전동화가 되지 않은 일부 지역에 출시될 제네시스 차량에도 적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친환경차 인증 수월해진다
13.8km/L만 넘기면 통과
2.5L 터보 하이브리드가 본격 투입되면 친환경차 인증도 한층 유리해진다. 최근 출시된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친환경차 인증 대상에서 제외됐다. 자동차관리법에 따르면 1.6L 미만 엔진을 탑재할 경우 중형차로 분류돼 14.3km/L 이상의 복합 연비를 충족해야 한다. 하지만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14.0km/L로 기준에 들지 못했고 대당 143만 원의 세제 혜택을 못 받게 됐다.
한편 배기량이 2.0L를 넘기면 대형차로 분류된다. 대형차는 복합 연비 13.8km/L만 넘기면 되기 때문에 한결 수월해진다. 최신 기술이 집약된 2.5L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는 팰리세이드, 스타리아 등 대형 차량에 탑재되더라도 이를 충족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2.5L 자연흡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토요타 시에나의 경우 복합 연비 14.5km/L를 달성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