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원’ 들여서 만들었는데 사람 한 명 안 보인다는 국내 여행지
① 1000억원 들인 산촌생태마을
산촌생태마을은 산촌 주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만 1000억원을 들였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 곳을 찾기 힘들 정도로 방문객이 없으며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요.
산림청 홈페이지에서는 산촌지역의 풍부한 산림 등 휴양자원을 활용한 소득원 개발과 생활환경개선을 통해 산촌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산촌을 산림경영의 거점으로 육성함으로써 지역 간 균형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조성한 산촌 내 공간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건강한 휴양과 살아 있는 자연학습의 장으로 힐링을 추구하는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물놀이와 황토약초찜질, 별보기, 목공예 체험, 수확체험, 아로마테라피 체험 등을 할 수 있다고 알렸습니다.
정부는 1995년부터 2013년 사이 강원도 내 15개 시군에 산촌생태마을 76곳을 만들었는데요.
정부와 지자체는 수많은 농산촌 활성화 사업을 위해 막대한 사업비를 들였죠. 하지만 방문객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지난 2020년 KBS 보도에 따르면 인제에 있는 9개 마을은 사업 현황도 파악되지 않았죠.
② 이미 방치된 체험관
KBS는 강원도 산촌생태마을의 현실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춘천에 있는 산촌생태마을은 20년 전 50억 원을 들여 유리온실, 놀이시설 등 방문객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조성했는데요.
이미 오래전 중단돼 흔적도 찾기 어렵습니다. 마을 주민은 처음에는 운영이 잘 됐지만 썰매장을 만든다고 해놓고 흐지부지됐다고 말했죠.
지난 2020년 KBS 보도에 따르면 춘천 북산면의 산촌생태마을은 최근 3년 동안 외지에서 온 방문객이 없었는데요. 당연히 마을 수입도 없었습니다.
입구부터 풀잎이 무성하게 우거져 있고 방치된 모습 그대로였는데요. 진입로가 막혀 있어 이용도 어려웠습니다.
춘천에는 사북면 지암리, 고성리, 북산면 부귀리에 이어 서면 덕두원2리, 사북면 오탄2리가 산촌생태마을로 운영됐는데요.
춘천시는 국비 등 30억 원을 들여 지난 2010년부터 산촌생태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다른 지역의 산촌생태마을 역시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철원군에 있는 산촌생태마을은 임산물 가공공장 안에 있던 건조장과 집하장이 철거됐는데요.
저온저장고도 10개 가운데 2개밖에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양구의 한 산촌생태마을은 14억 원을 들여 마을을 조성했는데요.
휴양관, 생태체험관, 산촌체험실 등이 있지만 문이 굳게 닫혀 있습니다.
방문객은 보이지 않고 오래된 집기와 의자가 쌓여 있고 굳게 닫힌 체험관에는 거미줄만 가득했죠.
이곳은 찾는 사람들이 없어 개점 휴업상태라고 밝혔습니다.
한 마을 주민은 “마을 사람들이 할 수는 없죠. 하고자 해도 의욕은 있는데 이 (몸이) 따라주지 않아요. 그다음에 어떤 그런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요”라고 말했죠.
③ 운영할 수 있는 인원 부족
강원도는 산촌생태마을의 90% 이상이 운영 중이라고 밝혔지만 10곳 중 3곳이 사실상 영업 중단 상태입니다.
운영실태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데요.
강원도는 산촌생태마을 조성 시 체험관, 숙박시설 등 마을마다 비슷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했습니다.
대부분 유사하기 때문에 방문객들을 이끌 수 없다는 의견도 있었는데요. 운영난이 계속됐죠.
강원특별자치도 산림정책과장은 “기존에 조성됐던 시설물이 일단 노후화됐고요. 그리고 산촌에서도 인구가 점점 없어지다 보니까 관리에 대한 부분에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이 없고”라고 말했는데요.
산촌 인구가 점점 들고 노령 인구 비율이 높다 보니 마을 주민들이 관리에 직접 참여할 수 없어 운영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강원도는 지난해 산촌생태마을 활성화를 위해 용역까지 했지만, 큰 변화는 없었죠.
한편 강원연구원이 조사한 소멸위험 지수에 따르면 읍면동 10곳 중 8곳이 소멸 위험으로 분류됐습니다.
지난해 소멸위험 읍·면·동 비율이 100%에 달하는 지자체는 도내 9곳은 홍천·횡성·영월·평창·정선·철원·화천·고성·양양이었는데요.
지난 2001년만 해도 도내 소멸위험지역은 11곳에 불과했지만 2006년 57곳으로 다섯 배가량 늘었습니다.
10년 뒤 2016년 111곳으로 늘며 2배가량 늘었죠.
갈수록 소멸위험지역은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지자체들도 지역소멸 극복을 위한 방안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 1000억원 예산이 투입된 산촌생태마을의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기는 어려워 보이는데요.
강원도뿐만 아니라 지방의 산촌생태마을 운영 역시 마찬가지일 듯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