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중국차 주제에 프리미엄? 국내 진출 임박 BYD, 대표 발언에 난리

뉴오토포스트 0

중국 전기차 업체 BYD
한국 진출 전략 밝혔다
가성비 아닌 고급화를?

BYD-중국차
BYD 당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CARSbyML’

수많은 중국 자동차 제조사 가운데 탑 티어로 평가받는 BYD(비야디). 최근 유럽, 오세아니아에 이어 일본까지 입지를 확장한 해당 제조사는 한국 시장에 이미 진출해 있다. 다만 버스, 트럭 등 상용차 부문에 한정돼 있었기에 눈에 띄지 않았을 뿐이다.

BYD는 올해 중으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승용차 시장 부문으로도 진출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가성비를 앞세워 기존 대중차 브랜드와 승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최근 의외의 소식이 전해졌다. 프리미엄 전략을 앞세워 브랜딩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BYD-중국차
BYD 국내 서비스 센터 / 사진 출처 = 네이버 카페 ‘테슬라 코리아 클럽’
BYD-중국차
BYD 돌핀 / 사진 출처 = ‘Wikipedia’

싸구려 차 인식 부순다
보급형 모델은 소량만

지난 7일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BYD 승용차 부문 조인철 대표는 해당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주요 전략을 언급했다. 조 대표는 국내 마케팅 전략의 최우선 순위로 ‘프리미엄’을 꼽았다고 한다. 그는 “국내에서는 중국차가 아직도 싼 비지떡이라는 인식이 있다”며 “중국차 품질 수준은 이미 글로벌 톱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어 “BYD 보급형 라인업 ‘바다’ 시리즈 출시를 우선 준비 중이지만 이는 시험적 판매 성격으로 소량만 들여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BYD 바다 라인업에는 현재 국내에서 상표 등록을 마친 씰(Seal), 돌핀(Dolphin), 시걸(Seagull) 등이 포함된다. 모두 중국 내에서 1천만~2천만 원 상당에 판매되는 저가형 모델이다.

BYD 한 / 사진 출처 = ‘Reddit’
덴자 Z9 GT / 사진 출처 = ‘Wikipedia’

고급 라인업을 주력으로
덴자 도입 가능성도 있어

조 대표는 “바다 시리즈의 판매 실적에 따라 ‘왕조’ 시리즈도 한국에 출시하려 한다”고 전했다. BYD 바다 시리즈가 보급형 라인업이라면 왕조 시리즈는 프리미엄 라인업이다. 왕조 시리즈는 중국 왕조의 이름을 따 한, 당, 송 등의 모델명으로 판매 중이나 한국에서는 국민 정서를 고려해 모델명을 바꿔서 출시할 전망이다.

왕조 시리즈 가운데 세단 모델인 한은 0~100km/h 3.9초의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현대차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 기아 EV6 GT와 견줄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럼에도 판매 가격은 중국 기준 30만 위안(약 5,700만 원) 수준으로 합리적인 편이다. BYD에는 왕조 시리즈보다 상위에 있는 서브 브랜드 ‘덴자’가 있는데, 지난 5월 국내에서 해당 브랜드의 상표 등록을 마친 바 있다.

BYD 진 L / 사진 출처 = ‘AutoCango’
BYD DM-i 시스템 / 사진 출처 = ‘Drive’

PHEV 모델도 준비 중
국내 네티즌 반응은?

BYD가 순수 전기차를 주력으로 밀고 있긴 하지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부문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조 대표는 국내 시장에 BYD의 PHEV 모델 도입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앞서 지난달 28일 BYD가 자국 시장에서 공개한 왕조 시리즈 ‘진 L’은 자사 5세대 PHEV 시스템을 탑재했다. BYD에 따르면 1회 충전 및 급유로 2천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한국 승용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차 업체로서는 첫 주자인 BYD. 해당 업체가 국내에서 대중차도 아닌 프리미엄 전략을 택한 것에 대해 다양한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정부는 보조금 책정 잘해라”. “프리미엄이고 뭐고 국내 대기업 독과점 견제 좀 해줘라“. “타고 다니면 주변에서 놀림 받기 딱 좋겠다”. “해외에서 아무리 잘 나간다고 한들 중국차는 믿을 게 못 된다” 등 다양한 반응을 남겼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

댓글0

30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주간 증시 전망] 트럼프 관세 우려 지속…코스피 2550~2700P 예상
  • 3월 공매도 재개…예상되는 효과와 수혜주는?
  • “유료방송 타격” KT 길어지는 망설임…티빙·웨이브 합병 언제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주간 증시 전망] 트럼프 관세 우려 지속…코스피 2550~2700P 예상
  • 3월 공매도 재개…예상되는 효과와 수혜주는?
  • “유료방송 타격” KT 길어지는 망설임…티빙·웨이브 합병 언제쯤

추천 뉴스

  • 1
    '징역 3년' 구제역 "쯔양 협박한 적 없다" 항소

    연예 

  • 2
    이이경, 유재석 음해 성공... 日 마츠시게 유타카 "주변인들이 힘들겠네"('놀뭐')[종합]

    연예 

  • 3
    틀니틀니 드래곤볼 셀전 비하인드.jpg

    유머/이슈 

  • 4
    “235명 등록 포기했다” 서울대 정시 합격생 대거 포기한 이유는

    연예 

  • 5
    윤유선, 판사 남편 퇴임식에 "당신을 위해 준비한 꽃"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T포토] 유니스 임서원 '귀염뽀짝 볼하트'

    연예 

  • 2
    [T포토] 유니스 젤리당카 '금발의 미소녀'

    연예 

  • 3
    [T포토] 엔플라잉 '애교 잘하는 남자들'

    연예 

  • 4
    윤수일 "로제 덕에 재건축 된 '아파트', 친구 이별에서 영감 받은 곡"('불명')

    연예 

  • 5
    싱글벙글 성별 정상화로 남자된 트젠배우ㅋㅋ.jpg

    유머/이슈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