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네모네모 특이한 모양의 미생물 –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디시인사이드 0
7fe9847fb19f3aa76dabd3a71fd06a37b606a3cf0e0415b75990cbe034

미생물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위처럼 공 형태의 구균, 막대형의 간균, 나선형의 나선균 모습을 떠올린다

3fb8c32fffd711ab6fb8d38a44e22d33eaef6237e42075c51c45de890f7fd3b5935d56bd9a0ec0cbfdf9c4fa47d89207

24b0d121e0c176ac7ebad19528d527032c6c5d4ee911

그러나 1980년 이집트 시나이 반도의 소금 호수에서 Haloquadratum walsbyi 라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이 미생물은 극단적인 고염도 환경에 서식하는 것 이외에 정사각형 판 형태를 가진 것이 특징으로 많은 미생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호주, 스페인 등 전 세계의 고염도 환경에서 흔하게 발견됨에도 불구하고 실험실 환경에서 배양이 되지 않아 연구에 차질을 겪었다

워낙 극한의 환경에서 자라는 터라 필요한 영양조건과 최적 염분 농도를 찾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고, 더구나 1-2일에 걸친 긴 분열 주기를 가져서 다른 빠른 분열 주기를 가진 미생물에게 밀려 잘 성장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장균은 조건이 좋을 경우 20분마다 한 번씩 분열한다)

3fb8c32fffd711ab6fb8d38a45e2272ff4a345c88573025a329cd8201eed2700f5d42c9a89615fc3c2359c569deb651ee4031b2487a84e6e1790fc10de3a

결국 최초 발견 이후 25년이 지난 2004년이 되어서야 실험실 배양에 성공하고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된다

3fb8c32fffd711ab6fb8d38a41dc2525b07f72b5d8503b88bb9388f366811d535c304f7a522e411c8e

위 기사를 포함해 초기에는 박테리아로 발표되었으나 게놈 분석을 통해 고균archaea이었음이 밝혀졌다

둘은 모양만 비슷하지 오히려 유전적으로는 고균과 인간이 더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차이점을 자세히 따지기엔 너무 길어지니 대충 눈코입 달려있는건 비슷한데 실제론 전혀 다른 싱붕이와 차은우의 차이 정도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자

3fb8c32fffd711ab6fb8d38a42e321296a68da999fce7f01addc3a2c933083ca0643a8731476e9c9a827f24c84c7a7e465b197a9f2b4

Haloquadratum walsbyi의 서식지는 상술했듯 엄청난 고염도의 소금 호수이다

a65614aa1f06b3679234254958db343a2c50ae84a41f93f31e8463

이런 환경에서는 산소가 극단적으로 적고 기타 영양성분도 부족하며 고염분으로 인한 삼투압도 압박 요소이다

그러나 이 미생물은 바닷물 농도의 10배에 달하는 고염도 환경에서도 1ml당 10^7마리에 달하는 개체수가 존재할 정도로 번성한다

따라서 위의 악조건들을 극복할 수 있는 여러 능력이 존재한다

a04c2cad2c06b4668f343a559d07c4b0b1a360162bdbd203d885c6b1a1da0a47a2a8a722938276942b7b3b07072a

세포는 부피 대비 표면적을 넓게 유지하는 것이 물질교환에 유리하며 그것이 대부분의 세포가 구 형태인 이유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미생물은 구 형태가 아니므로 다른 방향으로 진화했다

0cf0f827e9dd29b36fbbc4b402c4297072e0c258e631562591bf48e9715e3fbb9863108eba511618a005fb7352d4c1a083ac809ac3eb53c9950b6c8649083924e42654d5720953bbebc17bff3e0a299daa52c33b84488aa6ea8c94c9ace25097fee5b7883e4b43

적은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넓이(좌)에 비해 극단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 것이다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평균적으로 2-5μm이지만 두께는 0.1-0.2μm에 불과할 정도의 극단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가짐으로서 물질교환을 효율적으로 유지한다

04b0dd33ebdd3eaa7bb0c4b005d22133c901d3ddd1bb4067bcf34561a27e26c8823d8a44832ff8c5133bb8ef9aa69833949499d7d8b81ba2127992f10ffd1674eb2b64f203ff348c961fcf2fb89656d87883bd82ac6da12d20e8c4522c634f4538d106f273fa78

또한 삼투압에 대한 저항을 위해 할로뮤신(녹색)이라는 끈적한 점액질을 세포(빨간 사각형) 외부에 둘러 수분을 가둔다

할로뮤신은 삼투저항 이외에도 바이러스의 침투를 막는 물리적 방어 기능도 겸한다

2bb0d925e79f68f023ef86e74288693af8e6e8ed273ffeca6cd1ea1fa541bb2c23d9c9

또한 세포 내부에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주머니(GV)를 가지고 있어 필요할 경우 수면 가까이 떠오를 수도 있다

다른 주머니는 폴리하이드롴시부티레이트(PHB) 주머니로 할로뮤신과 비슷한 점액질이 들어 있어 세포 손상 시 즉시 구멍을 메워 주는 역할을 한다

7cea8277bd8268f13fea8ee0449f2e2ddf669c40649b04bff0bea402

이쯤 되면 그래서 얘가 왜 사각형인데? 라고 궁금해하며 계속 스크롤을 내리는 사람들도 있을것 같다
근데 연구자들도 모른댄다
나도 처음부터 그게 궁금해서 계속 찾아보다 정작 그 이유는 안나오고 곁다리로 찾은게 위에 저런거다

3fb8c32fffd711ab6fb8d38a4780173ef088e4e16e892ca1251e5e3d9aa1efaf85ef6e0c8bc6909ad02619079b80f2289db15b11dc53a9220607589927268b

그나마 추정하는 것이 건조 방지를 위해 합성하는 물질 중 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란 게 있는데 이게 형태 유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라고 한다

.

2ebed270b2d369a53eefd4ec47827165272dc2d47e7c03f2e49175953a7fb2830a41b9a2db9efb5b8612df745ad6a88321d44cc90d16769afce5c8b408b608d0e491f06771eb2f1f10d09887d052e9

어쩌다보니 의도치 않게 네이버 블로그 엔딩이 나긴 했는데 진짜 정확한 이유가 안나오더라

미안하다

혹시 이유를 아는 사람 있으면 알려주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Zenke, R., von Gronau, S., Bolhuis, H., Gruska, M., Pfeiffer, F., & Oesterhelt, D. (2015). Fluorescence microscopy visualization of halomucin, a secreted 927 kDa protein surrounding Haloquadratum walsbyi cells. Frontiers in microbiology, 6, 249.

David G. Burns, Helen M. Camakaris, Peter H. Janssen, Mike L. Dyall-Smith, Cultivation of Walsby’s square haloarchaeon, FEMS Microbiology Letters, Volume 238, Issue 2, September 2004, Pages 469–473,

Bolhuis, H., Poele, E. M., & Rodriguez-Valera, F. (2004). Isolation and cultivation of Walsby’s square archaeon. Environmental microbiology, 6(12), 1287–1291.

Bolhuis, H., Palm, P., Wende, A., Falb, M., Rampp, M., Rodriguez-Valera, F., Pfeiffer, F., & Oesterhelt, D. (2006). The genome of the square archaeon Haloquadratum walsbyi : life at the limits of water activity. BMC genomics, 7, 169.

Burns, D. G., Janssen, P. H., Itoh, T., Kamekura, M., Li, Z., Jensen, G., Rodríguez-Valera, F., Bolhuis, H., & Dyall-Smith, M. L. (2007). Haloquadratum walsbyi gen. nov., sp. nov., the square haloarchaeon of Walsby, isolated from saltern crystallizers in Australia and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7(Pt 2), 387–392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댓글0

댓글0

30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에어비앤비=불법’ 오명 벗겠다” 공개적으로 나선 에어비앤비에 관한 진실 5
  • [여행+베트남] 최장 6일 5월 황금연휴, 어디갈지 고민 중이라면 ‘깜란’ 어때
  • 엄지발톱 염증 원인 및 증상 조갑주위염 손발톱 주위 감염, 내성발톱 으로 인해서, 치료 및 관리 방법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 “’에어비앤비=불법’ 오명 벗겠다” 공개적으로 나선 에어비앤비에 관한 진실 5
  • [여행+베트남] 최장 6일 5월 황금연휴, 어디갈지 고민 중이라면 ‘깜란’ 어때
  • 엄지발톱 염증 원인 및 증상 조갑주위염 손발톱 주위 감염, 내성발톱 으로 인해서, 치료 및 관리 방법

추천 뉴스

  • 1
    “한국 가고 싶어요” 북한군 포로 귀순 가능성은…

    연예 

  • 2
    "배성재 예신" 김다영, 이렇게 예쁜데 외모 콤플렉스가? "면봉 같은 내 얼굴 속상"

    연예 

  • 3
    착하게 산 신민아, 부동산 투자 대박.. 7년 만에 100억 시세차익

    연예 

  • 4
    여고생 울고 웃겼던 스타 작가 ‘귀여니’, 최근 근황

    연예 

  • 5
    "화산 폭발 직전→총 뺏어서 싸운다" 멤버들, 조업 앞두고 불안감 폭발 ('1박2일')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탈핵 선언에 주춤했지만”…15년만에 최고치 기록했죠

    연예 

  • 2
    김신영, 플레이브 비하 논란 그후... "초등생 조카에게 배우는 중"

    연예 

  • 3
    서효림 눈물, 故김수미 손맛 인정받았다…♥정명호 "음식 잘하니 더 예뻐" (알토란) [종합]

    연예 

  • 4
    정지선 "여자 셰프라고 취업 안 되고 맞아가며 주방 일.. 담배 배웠다 천식 얻어"('사당귀')

    연예 

  • 5
    김재욱 "'커피프린스'는 내게 연기의 즐거움을 처음 알려 준 작품" (숲포일러)

    연예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