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방: 가방이 외래어라는 사실은 꽤 유명한데 일본어 鞄 (かばん, 카방)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냄비: 일본어로 냄비가 ‘나베‘인것을 보고 “음, 같은 한자문화권이라 그런지 발음이 비슷한가보네” 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있었을텐데 냄비와 나베의 발음이 비슷한 이유는 냄비가 ‘나베’에서 유래한 외래어이기 때문이다

깡패: 구수한 순우리말 같지만 깡패는 영단어 gang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다

바자회: ‘시장’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bazar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비박: ‘야영지’를 뜻하는 독일어 Biwak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터부: 흔히 ‘터부시하다’ 등으로 쓰이는 터부는 사실 하와이어에서 유래한 영단어 Taboo이다.

자몽: 자몽은 사실 포르투갈어 zamboa가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오며 변형된 단어이다. 여기서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사실 포르투갈어에서 zamboa는 자몽이 아닌 ‘포멜로‘라는 다른 과일을 뜻하는 단어라는 점이다.

조끼: 포르투갈어 jaque가 일본에서‘춋키’로 변형된 뒤 들어온 외래어이다. 여단으로 현재 일본에서는 춋키 대신 베슷토(vest)를 주로 쓴다고 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