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세계 1위기록했던 기업…이젠 알짜 사업까지 매각했죠”
알짜 사업 매각 결정
중국 기업 저가 공세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
트럼프발(發) 경제 불확실성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부터 국내 인수·합병(M&A) 시장에서는 대기업들이 핵심 사업을 매각하면서 구조조정을 서두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非)주력 사업이 매각 대상으로 선정되는 상황과 다르게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알짜’ 사업들도 매물로 나와 화제다. SK스페셜티가 약 4조 원,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가 약 6조 원에 매각 진행 중인 대표적인 사례다.
11월 20일 IMF가 발표한 한국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발표가 되기 전부터 국내 재계는 다양한 악재를 예상했다. 에상한 악재는 경기 침체와 중국의 저가 공세,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무역 규제 강화 우려이며 선제적으로 사업 재편에 나섰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고관세 장벽이 예상되고 유럽연합(EU)도 장기적인 경기 침체 조짐을 보여 한국 수출 산업의 전망이 어두워 우려를 낳고 있다. 대내외적 불확실성에 따라 대기업들은 매각과 합병, 인력 구조조정을 하면서 강도 높은 재정비를 추진 중이다.
SK스페셜티는 두 가지 제품에서 제조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과정에서 필수적인 삼불화질소(NF3)와 육불화텅스텐(WF6)이 1위 제품이다.
지난해 SK스페셜티는 매출 6,817억 원, 영업이익 1,471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보였지만 매각을 결정했다. SK그룹이 2026년까지 반도체 및 AI(인공지능) 분야에 8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을 세운 것이 이유다. 이 계획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해당 사업을 매각하기로 했다.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 또한 회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핵심 사업이다. 지난해 바이오사업부는 매출 4조 1,343억 원, 영업이익 2,513억 원으로 회사 전체 매출의 23%, 영업이익의 30%를 기록했다.
하지만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가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라 지금이 매각 적기라고 판단했다. 해당 사업을 매물로 내놓은 CJ그룹은 이를 통해 새로운 M&A를 위한 자금을 확보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사업에 집중한다.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생산법인(2조 원) 또한 중국이 장악한 액정디스플레이(LCD) 사업을 매각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에 집중할 예정이다. 삼성SDI 편광필름사업부(1조 원)의 편광필름은 LCD에 사용되는데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인해 사업성이 떨어지는 추세로 철수했다.
과거 한국 기술 모방으로 시작했던 중국 기업들은 이제 유사한 기술력을 갖춘 채 저가 공세를 펼치며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한국 기업들은 경쟁력을 잃은 채 핵심 사업을 매각하거나 철수하는 등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LG화학은 비주력 자산 매각과 함께 생산 공장의 가동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LG화학은 나주공장 알코올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고 2026년 글로벌 양극재 생산 목표량을 하향 조정했다.
LG화학은 공급과잉 상태인데 수요는 적어 균형을 이루지 못한 분야를 해결하기 위해 신사업 확장에도 집중하고 있다. 화학적 재활용 기술 분야에 투자해 성장이 기대되는 재활용 시장에서의 경쟁력 선점에 나섰다.
그러나 매각 작업이 순조롭지 않은 사례도 있다. 효성화학의 특수가스(NF3) 사업부 매각 협상은 삼성전자 반도체 상황 악화로 인해 결렬됐다. 삼성전자가 매출의 75%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협상 가격은 1조 원 이하로 떨어졌다. 결국 매각 작업은 중단되었다.
이상호 한국경제연합회 경제 산업본부장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수출마저 정점에 도달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며 “규제 완화와 투자 확대 등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다양한 악재가 겹친 현재 대기업들의 구조조정과 재정비가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