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하면 720만 원 준다는데…” 정작 시민들이 ‘불만’ 쏟아낸 이유
월 30만 원씩 2년 지원
전세 3억 이하, 조건 까다로워
청년 정책, 실효성 부족
서울시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표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제도는 무주택 가구가 아이를 출산하면 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일부 시민들은 현실적인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 정책의 지원 대상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무주택 가구로 한정된다. 또한, 서울 전세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인 임차 가구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제공하는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정책에 따라 주거비는 6개월 단위로 4회에 걸쳐 분할 지급되며, 선 지출 후 사후 정산 방식으로 운영된다. 다른 지역으로 전출하거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지원이 중단된다.
네티즌들은 이번 정책에 대해 “지원 금액이 적고 기준이 까다롭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 네티즌은 “서울에 전세 3억 원 이하 주택이 얼마나 있느냐”며 정책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소득만 기준으로 삼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라며 자산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는 “다태아 가구나 추가 출산 가구에 대한 지원 연장은 긍정적이나 실제 혜택을 받는 가구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번 정책의 논란은 서울시의 기존 주거 정책에 대한 개선 요구와도 연결된다. 청년 주거정책 역시 지원 기준의 복잡성과 실효성 부족 문제로 비판을 받아왔다. 정부와 수도권 지방자치단체가 시행 중인 청년 주거정책은 101개에 달하지만, 청년들이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국토교통부의 청년행복주택은 청년 기준을 19~34세로 설정했지만, 서울시의 역세권 청년주택은 39세까지 청년으로 본다. 일부 정책은 29세 또는 34세로 기준이 다르다. 소득 기준 역시 중위소득 80%~150%로 다양해, 거주 지역이나 개인 상황에 따라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있다.
하성규 중앙대 명예교수는 “정권마다 치적용으로 주거 정책을 남발하다 보니, 청년과 무주택 가구가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이 부족하다”라며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주거 지원 유형을 단순화하고, 통합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원 금액과 대상 범위를 확대해 정책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서울시는 이번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을 통해 저출생 문제 해결과 주거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대상과 지원 금액의 현실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 확대와 지원 체계 개선 등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