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싱글벙글 1950년대~1970년대 홍콩

디시인사이드 0
7c9cf305b58b6b8023ed83ed329c701f5606f5949b22cea46062ec9de44caa6c08a08d1a3f372ab1dfd9d535e42e5d15cf431d2c

0b9cf470b18160ff23eb8ee0379c70689ec42e47bfad72da286a2430c7d96311203e1d971a854c095ddb6491ce1a7b079fbbdc

시청을 중심으로 바라본 홍콩 전경

0eedf575b486618423e8f5e6419c7069f45c1f37d8a928168827b01fd5d2606918a6e19c70134b8afed9f6816a377289d88176fb

시청 앞 부두

7d9ef674b48a6af4239e82964f9c7069bbc24c2df463e4a7663ee534c61c90ded1745f56f30fd5413b9bdcad761bf1082aa3b72e

홍콩 CBD(중앙업무지구). 
좌측의 아르데코풍 빌딩은 HSBC 옛 본사, 우측 빅토리아 식민지풍 궁전은 옛 최고법원종루.

0cea8776c6f019f523e780e5349c706b91f885784c1d7af3845745ab2c780a508910fafad468ef788a8ddc31bb91539da4d9f06e

법원 뒷편으로 좌측은 중국은행 홍콩지점, 가운데 Prince’s Building, 우측은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0ee88973bc856b8223e88297309c701801323d154d1054dfe512b3dd6737d263c0bd62c94fe2be3d4326c0aa5754625c21559b

최고법원종루와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7aee8376c6f7698223e9f094379c70653ee8d95b4250cd34f7fca1f6ea0f6fa12439e12ec93812ae05946773f8e8fa22977f18

7a988503c18b6b83239c8fe1329c701e4c443dae7613f5e2ca1da56b6e719532a9b73625c36814768a3cbff6408677c61ee84f7a

09e48177b286698023e682e1449c706a8c40a816c9c069fc9e4cd196dda8d1ca69bd7a19729173cdae68fc8c290e15b8d2bc7c

홍콩 시청사
1962년에 개관된 전형적인 국제주의 양식 빌딩.

7aeef400b0f661f523e6f2ec349c706c3e4370c0ffbd001eac62d24b543ea682c0bcb2f776f359c6c2b1686bcaa6f72449a66f

테니스치는 영국 식민지 관료들.

7bee8005c3f16ff423e6f091349c706e8262951ede8a6134d8483902b0570ab34d2fb5e90ff571f0d0d741efed1ac02da5d7c644

미국 부통령 리처드 닉슨의 홍콩 방문

09ee8777b28769f323e9f2944e9c706d0a031513a74ed8953bed6686ddb20c7384c9dbbd3559454a7877c3946ee3152470ee9fdb

시청과 옛 홍콩 클럽 빌딩.

7d988370b18b1a83239e8ee5439c706e63209c4cabbab15cf72c945b21f6ceaa3ab015a62fde89c00303659f18fdfefde9c2f9

HSBC 홍콩 빌딩
이후 도심 재개발을 위해 철거되어 버린다.
1990년대에 지어진 HSBC 홍콩 지부의 새 빌딩이 부지를 차지.

759f8676b0f61bf023ed85e1329c701beb3b64f52162b37490983c5b3758f7d4ea06a2444f8789426339bfb0faf136cbe91296

7598f37eb2816ff0239cf7ed449c706b55277c791352a3d5f06747e54a27f080462c0bbda2e88e1bd07bf3e5e1f435f8d9c1b7

0fe5f470c0f06180239af096469c701ca6e68bb27ab340784433b91cf0c61272a3f728ecba064a50fa44016442f263d879f21a

0e9e8702c3f3608523e886e6309c701bd7be80e0d4bb42de0790edd21186fca9f9921544b92ad2f94c8487442e73018ae1d792

099ff402b0816085239c8fe04e9c701c6f0c0b023c5a77a2fc11e5fc5e7565ebba5e5512e0227e59771e01486489e395ff1319

749c8305c487698323e783e14f9c7018bae10ff7777425ae1d8490f9e09712ccc531860e8965b5c580ec7f90a6e5faf9dd8b15

중국은행 홍콩지부
중화인민공화국의 발주 아래 홍콩 내에 중국 대륙의 영향력,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해 홍콩 금융계와의 소통 창구를 하는 겸
중국 문화권치고는 몇 안되는 아르데코풍 마천루가 건설되었다

0fedf571b0851d87239986e4469c706c091f809ea5f10dfdcf61f81ca311b7e388f646c2aa9e357a143d9b1baf19c1b384f52719

0f9f8577c481198423e8f3e04f9c70646142973dfbcf8456096c5d552af90726e6f8c9276e00a5ffdb6ad8b15a95eb598c246be8

위풍당당한 중국은행 입구

0eee8175c3f4688223e680e34e9c70197b3ccd2220a337124d045cec4e44d13e1e00ac2a53b7993aee8164f66b9f8dd6016aed

7a9b8975b1f16b87239b80e2329c701c66772b504fd96d801965baea49cb8353cc833904520c3529e71f4b299c7cd2919bc256

0e9ff303c4f41a8423998ee6329c706dc8e7269578d1c15db532905c3f10d0bfd83929e17e4e828a4feb042d87f593eda6c2977a

힐튼호텔 홍콩과 중국은행

09e48607c6f66cfe239c85ed429c706ca403dc35a182204e90eb2bb9675aca7bc5345023476d514692fdbfe811f4c7b2fbbfaa

0febf404b1f01dff23e68e96379c701b677e2b7e2ae16ec1cc8e5e6dda4d8e86b3688e27e6444ac43bb1ad6554e6511fc86b35

759b8771b5801cf223e684e0419c701f76e5874985fffe710edcfa8975b0d53005069c304c75e125f7219f6f152913df851145

0f99f200c3821af423e8f5e54e9c706ae7b8e69bddff4471f784df7577f6c4b22deac49a5c5ed1801806db64552899c23abc3d15

네이선 로드 1970

0999847ec1f169ff239b81e6349c701eac591081fe90f99b60c587b702e9a3ef0eb2a9da0c17397abbb92c6d6d3d1e21a6a138c1

네이선 로드 1967

0999f17fb6f11efe239cf3ec429c706ac47f594738dfd5853fb082da8b1042085c406c770f80eca460eb7d5ba73f07f5302e25ca

0fee867fb0871bf323ecf0e14f9c706d78bccb59ba8fe22e6589b081c0cf73ca2eb233bc7c7ca8c1f82aab88cd880ffd5e8804

7f998076b4f06b84239ef7e3439c701f7e1f84bffc526ec6a7f322a15339d609d5834a952ad732f6c89f0d39d25069f901ad83

78ec8174b0876df42399f2e5479c701ed659307429c02598f1cc8fb1fb6a24e845b66203ce14f45c366e000a0592f6cd1373fa4b

09988075b0876cf423e98e94439c70184cf691d0f38c9401ff9cdc3f8a4bea5a9cfa846f82bcdd852fe1ac6e25b90f8970f119

75ee8300b58a6fff239bf3ec339c706a4580e1002e63d77b97cef139a4685304497dad89573729200f611e3ee355e092bbd6f31c

78e5f17ec1816c84239af5e4429c7019f59c07b0b6846001f694fb22dca955799075f919e63b30e820d8514c9584d29682db8f

오스틴 로드 1957

7be8f574c0821cf323e8f390439c7068915a2af9720423312f4bf53b15d608890da597fcef36febaf3eb6edf5b6b94e36de5f6

09e88972b2f360f6239df7e7429c701813591ec60facc648e4749bb03e5828668d8e8f8f4bfa22b1e91bbdfbfdd5ae6f09d0d417

0b9bf402b68160f2239d81e34f9c706d913c9a4f6ac8b98062ddf3320b8613df64b3d33968de8a37d50ef52e3cb609ca9a7272ee

0be4f404b4f760f02399f394379c706e67a1f24e7cb47426283d1e7ef88c5b180e7035e619c4195d075a52085d713707a8afef

78eff105b0f368f423eef2e5469c70186f87d48d13266ee02ab5fa33cd151a73034496b478aae83cc93f2f6002c90208cddaf1f0

79e8f200b7f66087239df4e4419c706b3846cea5fc41db6ab52ff24e0a006b65ef7775066dbb2eaf336e71d207263e6b79ea50

09eff607b1826bff23e68296459c706fbdcca3fc1b24ac4dc3f47404e07499bfb0c401297cd548d696e85268bde3eeb62f98ca

78e58074b38261f723ec85ec379c706bf1aa42d6e046d38f043bdf2ce837b6a7c74d701aaf330e0add5d078724ef7f688925e98e

099f8871b7876b8323ea8091409c706c6c802ac5721fb5989c9ae9246c361bb96590244655c923fa6c663b48dc97a923225ebf

09e9f571b7806af0239987904e9c706401cd87bd4fb2d6a1f546c19e169124d6da7933da3d684e7a2bf6b70460bddae104bd69

09ea8500bdf06bf4239cf0e3479c706a15721f4a90906d7ba2d9c70dd4fe7972cad4a8abbe097dec34cd87eb55bf60fcd4eb34

7b9c8403c1f361f423eff7e4469c706981872e8586438e5661002067488f974d21933e77d0479b4e718926173d66559f59b3a69a

7fe8f271b08a6ef623ef82e4439c701c620adc046746d2646fdedd8f5c09684f6cf85f060ee5176efa09db2a158b9fd4f70ed4b0

0eeaf203b5f06af123ea8ee74e9c706452c3410ec604fa45b271e36d32961bca9ba1081bf6e91884d60c72c87578f5bd7b37a3

네온사인의 야경과 개방적인 항구 문화, 서구와 동양, 클래식과 모더니즘이 공존하던 문화적 융합 저편에는 영국 식민당국의 부패와 압제적인 통치, 사회, 경제적 차별로 인해 대륙으로부터 넘어온 이주민들을 포함한 홍콩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계 원주민들은 빈곤 속에서 불만이 갈등의 씨앗을 품고 있었고
식민당국은 끊임없는 폭동과 시위 속에서 통치 능력의 한계를 맞이하고 있었다
이 시기 홍콩 영화의 소재가 되는 홍콩 출신 노동자들의 동남아 지역에서의 비애(당산대형), 삼합회들의 잔혹함을 살린 무법천지 느와르물(영웅본색) 등 홍콩 영화의 주요 소재들은 역설적이게도 아시아 최대의 현대도시 홍콩의 딜레마들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댓글0

댓글0

30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31만대 판매 포르쉐의 위엄” 그러나 중국 때문에 비참해진 이유는?
  • “벤츠보다 이쁘다?” GV70 부분변경 디자인, 어디가 어떻게 바뀌었나
  • “실구매가 2천만원대 BYD 전기차” 가성비 전략으로 국내시장 평정할까
  • “밸런타인데이 앞두고…” 지금 당장 ‘다이소’로 달려가야 할 이유 생겼다
  • 국립민속박물관, 2025 정월대보름 한마당 축제
  • 오사카 자유여행 시작! 간사이 공항에서 오사카 시내 가는 방법(+요금, 교토까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31만대 판매 포르쉐의 위엄” 그러나 중국 때문에 비참해진 이유는?
  • “벤츠보다 이쁘다?” GV70 부분변경 디자인, 어디가 어떻게 바뀌었나
  • “실구매가 2천만원대 BYD 전기차” 가성비 전략으로 국내시장 평정할까
  • “밸런타인데이 앞두고…” 지금 당장 ‘다이소’로 달려가야 할 이유 생겼다
  • 국립민속박물관, 2025 정월대보름 한마당 축제
  • 오사카 자유여행 시작! 간사이 공항에서 오사카 시내 가는 방법(+요금, 교토까지)

추천 뉴스

  • 1
    민주당에 고발당한 '극우 유튜버', 결국 이런 최후 맞았다

    연예 

  • 2
    [T포토] 원어스 이도 '손하트는 필수'

    연예 

  • 3
    [T포토] 원어스 시온 '똘망 강아지'

    연예 

  • 4
    [T포토] 원어스 서호 '나는 애교 다람쥐야'

    연예 

  • 5
    [T포토] 원어스 '뚜벅뚜벅'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싹 다 잡아들여라” 홍장원 입에서 나온 충격 발언에 尹 반응, 심상치 않다

    연예 

  • 2
    [T포토] 박형섭 '훈훈한 손인사'

    연예 

  • 3
    [T포토] 앤리-블랑 '살짝 긴장했어요'

    연예 

  • 4
    [T포토] 강희 '부드러운 미소'

    연예 

  • 5
    [T포토] 오혜연 '서울패션위크 왔어요'

    연예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