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고집에 맞불 놓은 경기도, 결국 마지막 카드까지 꺼냈습니다
구리·서울 ‘통합추진위원회’ 출범
경기도 ‘GH 이전 백지화’로 맞불
”지방분권 개헌 취지에 맞냐?“

최근 경기도가 구리시의 서울 편입 추진에 대응해 “경기 북부 발전을 위한 명분이 사라졌다”라며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구리시 이전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혀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21일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백경현 구리시장은 GH 이전과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라며 GH 이전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고영인 부지사는 “구리시가 서울시로 편입되면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구리시에 갈 아무런 이유가 없다”라며 “GH 구리시 이전은 단순히 구리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침체한 경기 북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원동력으로 도약시킬 북부 개발의 상징”이라고 밝혔다.

즉, GH는 현재 경기도 산하기관인 데다 경기도의 균형발전을 위해 옮기려던 것으로, 구리시의 행정구역이 서울로 바뀌면 이전 사업 명분 자체가 사라진다는 것이 골자다. 이에 대해 고영인 부지사는 “백 시장은 개인의 정치적인 이득을 위해 구리 시민을 기만하고 구리 시민 간 갈등을 부추기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비판했다.
더하여 서울 편입 추진을 계속할 때 구리시로의 GH 이전을 ‘백지화’할 것이라는 경고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고영인 부지사에 의해 서울 인접지 흡수 논의를 두고 오세훈 서울시장의 태도가 언급되기도 했다.

고영인 부지사는 “오세훈 서울시장은 구리시와 김포시의 서울 편입 주장이 얼마 전 주장한 지방분권 개헌 취지와 맞다고 생각하냐?“라며 “오 시장은 지방분권에 역행하고, 갈등을 부추기는 구리시와 김포시 서울 편입 추진에 대한 포기 선언을 조속히 하라”고 촉구했다.
다만, 백경현 구리시장은 “김동연 지사가 산하기관 이전을 약속대로 추진하겠다고 했는데 GH 이전을 백지화하면 경기도 행정이 신뢰받지 못할 것”이라고 전하며 고영인 부지사의 주장을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그는 “서울 편입은 결정된 사항이 아닌 데다 시민 요구에 따라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효과를 분석하고 있을 뿐”이라고 부연했다. 더하여 백경현 시장은 “경기 북부 균형발전이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GH 이전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있었다”라며 “그동안 경기도, GH 등과 9차례 실무협의회를 갖고 도시관리계획 등 관련 행정절차도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었는데 갑작스럽게 중단을 결정해 당황스럽다”라고 토로했다.
당초 구리시는 2021년 경기도 공모에서 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돼 토평동 9,600㎡ 부지에 지하 3층·지상 19층, 전체 건축면적 3만㎡ 규모의 GH 본사 건물을 신축하기로 했다. 이 사업에 따라 GH는 2031년까지 이전을 마무리할 계획으로 2026년까지는 경영진과 주요부서 등 100여 명이 먼저 옮길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로 GH가 구리시로 이전하면, 연간 80억 원의 지방소득세 증대 효과와 함께 655명의 직원과 연간 1만 5,000명 방문 고객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 바 있다.
다만, 일부 도의원이 서울 편입을 추진 중인 구리시에 GH 이전이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관련 논란은 이어질 전망이다. 실제로 신동화 구리시의회 의장도 GH 구리 이전 절차 중단과 관련해 “구리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서울 편입과 지에이치 구리 이전이 양립할 수 없는 이율배반적인 졸속행정임을 지적해 왔다”라며 “구리시의 장으로서 백경현 시장의 지에이치 구리 이전에 대한 불확실하고 애매모호한 입장과 시의 소극적인 대응을 강력히 질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와 구리시의 통합을 추진하는 백경현 시장은 지난 2023년 11월 오 시장을 만나 서울 편입을 건의하고 지난해 7월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도 “여론조사를 거쳐 시민이 가장 원하는 방향으로 서울 편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달 24일엔 시민 등으로 구성된 ‘구리-서울 통합추진위원회’가 출범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구리시가 지난해 7월 구리 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66.9%가 서울 편입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접 도시인 남양주에서는 시의회와 시민단체가 GH 이전지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GH 이전 논란이 불거졌다.
이는 남양주시의회가 지난 10일 열린 제30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경기주택도시공사 북부 이전지 재검토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당시 건의안에는 “경기도가 GH의 구리시 이전을 취소하고, GH의 운영 안정성 등을 고려해 남양주시로 이전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구리시가 “서울시 편입은 물론 GH 구리시 이전도 적극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구리시가 구리 시민이 GH 이전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 이상 이전 절차를 감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