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5명 등록 포기했다” 서울대 정시 합격생 대거 포기한 이유는
서울대 등록 포기 16.3% 증가
다른 대학 의대 진학했을 것
서울대 의예과 포기자 1명

정부가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가운데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모집 합격자 중 235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전해져 이목이 쏠리고 있다.
20일 종로학원이 2025학년도 정시 추가 합격 발표를 마감한 서울대 공식 자료(일반전형 기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정시 합격생 중 등록을 포기한 인원은 235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년(202명) 대비 16.3% 상승한 수치다.

계열별로 보면 자연 계열 178명, 인문계열 51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8.5%, 45.7% 올랐다. 이러한 서울대 등록 포기에 대해 종로학원은 서울대 자연 계열 등록 포기 학생 중 다수가 다른 대학 의대에 갔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들은 인문계열 합격생 또한 자연계 학생들이 교차 지원한 이후 다른 대학 의대에 중복으로 합격하면서 이탈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서울대 자연 계열에서 등록 포기 인원이 가장 많은 학과는 간호대학으로 16명의 포기자가 나왔다.

이어 전기정보공학부(12명), 컴퓨터공학부(11명), 화학생물공학부(10명) 등이 차지했다. 인문계열에서는 자유전공학부에서 가장 많은 이탈자가 발생했으며, 11명의 포기자가 발생했다. 다음으로 경제학부(7명), 인문계열(6명), 경영대(5명), 학부 대학(5명) 순으로 포기자가 많았다.
연세대에서는 정시 합격자 중 690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수치는 724명이었던 지난해에 대비해 많이 하락한 수치다. 계열별로 보면 인문계열 211명, 자연 계열 474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영학과가 11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를 전기전자공학부(93명), 첨단 컴퓨팅 학부(74명)가 이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6학년도는 의대 모집 정원이 확정되지 않아 입시 예측성 상당히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라며 “수험생으로서는 더 혼란한 상황일 수 있다”라고 전했다. 정시 최초 합격자 중 의대생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 14일 종로학원 따르면 서울대 정시 최초 합격자 중 등록 포기 인원은 124명으로 전체 모집인원의 8.9%의 비중을 차지했다. 해당 수치는 지난해 97명(7.1%)보다 1.8% 상승한 수치다. 최초 합격자 중 의예과에서 1명이 합격하고도 등록 포기를 함으로써 예비 1번을 받은 수험생이 추가 합격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한 수험생 카페에서는 “추가 합격생은 재수생”, “서울대 의대에 추가 합격이 있을 수 있다는 걸 보여준 멋진 친구”, “멋지고 소신 있는 학생 응원한다.”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전날 법안심사소위원회를 개최했다. 해당 회의에서는 의료 인력 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 관련 사항을 명시한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안 2건과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 4건, 정부의 수정안을 검토했으나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따라서 여야 의원들은 추계위 구성에 대한 의료계 등의 의견을 추가로 수렴하고 논의한 뒤 이달 중 법안을 원포인트로 심사해 통과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추계위가 4월까지 의대 정원을 결정하지 못할 시 2026학년도 입시에 한해 각 대학이 자율로 정원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부칙을 마련하는 데엔 여야 모두 동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박민수 복지부 차관은 “의대 정원은 원칙적으로 보건의료기본법 개정 또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을 통해 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한다”면서도 “추계위나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에서 의사 결정이 안 될 때를 대비한 대안”라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