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보다 매력 있다”…투자자들 이목 사로잡은 이것
오피스텔 청약 경쟁률 상승
2025 임대수익률 증가 전망
안정적 임대수익 제공 투자처

2025년 오피스텔 시장은 활발한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오피스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청약 경쟁률도 상승했다.
서울 송파구 방이동의 ‘잠실역 웰리지더테라스’ 오피스텔은 총 4실 모집에 91명이 몰려 평균 22.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다른 예시로 서울 영등포동3가의 ‘여의도하이앤드1ST’는 일부 타입에서는 미달이 발생했지만 29CP 타입에서는 1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높은 관심을 받았다.
반면 지난해 아파트 시장의 경우 대우건설이 11월 대구에서 공급한 ‘상인 푸르지오 센터파크’와 인천 미추홀구의 ‘인하대역 푸르지오 에듀포레’는 각각 0.03대 1과 0.52대 1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을 보이며 1순위 마감에 실패했다. 경기도 평택시 장안동 ‘브레인시티 푸르지오’도 6개 주택형 중 5개 타입이 1순위에서 미달됐다.
오피스텔 시장에서의 높은 경쟁률은 최근 몇 년간 발생한 아파트 시장의 고공행진과 금리 인하로 인한 투자 수요 증가가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의 계속된 가격 상승에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오피스텔로 눈을 돌리면서 오피스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오피스텔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교통 편의성과 다양한 개발 호재를 갖춘 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수요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청량리역 인근에 있는 ‘힐스테이트 청량리 더퍼스트’ 오피스텔이 있다.
이 단지는 입주를 시작하자마자 빠르게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청량리 일대의 교통 허브로서의 미래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청량리역은 이미 다수의 노선이 운행 중인 교통 중심지이다. 앞으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와 강북횡단선 등 추가 노선들이 개통될 계획이어서 향후 더욱 높은 교통 접근성을 자랑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오피스텔의 매매 가격은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 상승세를 보인다. 특히 울산, 경기, 광주, 충남 지역에서는 오피스텔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증가하며 오피스텔이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오피스텔의 임대 수익률은 4.8%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세보증금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월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오피스텔이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제공하는 투자처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가·사무실 시장은 침체한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2025년 1월 상가 및 사무실 거래는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임대수익이 높은 오피스텔로 관심을 전환하고 있다.

하지만 오피스텔의 신규 공급량은 부족한 상태이다. 2025년 신규 공급량은 2021년 호황기와 비교했을 때 많이 감소한 상태이며 이는 향후 오피스텔 시장의 가격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2025년 오피스텔 시장이 공급 부족과 수요 증가가 맞물려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역세권 오피스텔은 교통 편의성과 개발 호재 영향으로 향후에도 많은 수요자들의 선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오피스텔 시장을 둘러싼 네티즌들의 의견도 뜨겁다.

한 네티즌은 “오피스텔이 아파트에 비해 저렴하고 교통 편의성까지 갖춘 곳이 많아서 실거주와 투자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선택”이라고 언급하며 오피스텔을 새로운 투자처로 고려하는 추세를 반영했다.
반면 일부 네티즌들은 오피스텔의 높은 경쟁률과 공급 부족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오피스텔 시장이 과열된 것 아닌가?”라며 “향후 공급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격 급등을 우려한다”라는 의견도 있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