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졸하게 원가 절감? 엠블럼 바꾸고도 욕 먹는다는 르노코리아 근황
르노코리아 브랜드 리뉴얼
사명 바꾸고 새 엠블럼 도입
SM6만 그대로 둔 이유는?
국내 완성차 제조사 중 가장 늦게 출범한 르노코리아. 1995년 당시 ‘삼성자동차‘ 사명으로 시작한 해당 브랜드는 창립 초기부터 지금까지 같은 디자인의 엠블럼을 사용해왔다. 일명 ‘태풍의 눈’ 엠블럼이었다.
2000년 르노그룹 산하로 인수된 후에도 큰 형태 변화 없이 해당 엠블럼 디자인을 고수했다.
클리어, 캡처 등 일부 수입 차종에 르노 ‘로장주‘ 엠블럼을 사용한 적이 있긴 하나 잠시뿐이었다.
그런데 최근 사명 변경과 함께 로장주 엠블럼을 전 라인업으로 확대 적용해 눈길을 끈다.
일부 차종은 변화 없이 기존 엠블럼과 모델명을 유지해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는데, 어떤 이유일까?
로장주 엠블럼 적용
XM3는 ‘아르카나’로
르노는 한국 법인 사명을 기존 ‘르노코리아자동차’에서 ‘르노코리아’로 변경하고, 태풍의 눈 엠블럼을 로장주 엠블럼으로 변경한다고 3일 밝혔다. 프랑스어로 마름모를 의미하는 로장주는 르노가 지난 20세기 초반부터 125년째 사용해 온 엠블럼이다. 이번 사명, 엠블럼 변경은 삼성차 시절의 흔적을 최소화하고 글로벌 브랜드 르노의 정체성을 강조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날 르노코리아는 새 엠블럼을 적용한 라인업과 향후 국내 시장에 도입할 신차를 공개했다. 소형 크로스오버 XM3는 유럽 시장에서 쓰이는 모델명 ‘아르카나(Arkana)’로 변경됐다.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XM3보다는 아르카나라는 이름이 익숙하고 주 소비층에도 해당 명칭이 잘 알려져 있다“며 이유를 전했다.
나머지 모델은 이름 유지
SM6 태풍 엠블럼에 논란
하지만 중형 SUV QM6는 엠블럼만 변경되고 모델명은 변함없이 유지됐다. 해당 모델에 엄연히 ‘콜레오스(Koleos)‘라는 수출명이 있음에도 삼성차 시절 이름을 유지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날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은 “QM6는 블록버스터 같은 성공을 거둔 차”라며 그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 7년 동안 국내에서 안정적인 인지도를 쌓아왔다는 것이다.
더욱 논란이 되는 건 중형 세단 SM6다. 해외에서 ‘탈리스만(Talisman)’으로 판매되던 해당 차종은 모델명은 물론 엠블럼조차 기존 태풍의 눈 그대로 사용한다. 스테판 드블레즈 사장은 관련 질문에 “앞으로 지속해서 개발될 모델이 아니기 때문”이라며 말을 아꼈다. 후속 모델 없이 단종한다는 계획을 에둘러 표현한 셈이다. 이에 네티즌 사이에서는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이다. 단종될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자사 라인업에 속한 만큼 엠블럼 정도는 통일하는 성의를 보여야 하지 않냐는 것이다.
비용 문제 고려한 듯
향후 출시할 신차는?
하지만 SM6 만큼은 뒷사정이 있었다. 아르카나와 QM6는 태풍 엠블럼과 로장주 엠블럼 모두 보닛, 테일게이트 금형 변경 없이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SM6는 두 사양의 보닛 형상이 다르다. 수출형인 탈리스만의 부품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지 않냐는 의견도 제기되나 탈리스만은 2022년 단종됐다. 국내에서 수출형 부품 재고를 보유할 이유가 없으며, 부품 역수입이든 금형 변경이든 모두 만만치 않은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아울러 SM6는 올해 월평균 판매량이 100대 내외에 불과하다. 비용 대비 편익을 고려하면 비판을 감수하더라도 변화를 주지 않는 편이 최선이었을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르노코리아는 오는 6월 부산모빌리티쇼에서 신차 ‘오로라 1(개발명)’을 공개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르노 전기 크로스오버 ‘세닉 E-테크’를 추가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