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소국 또는 강대국에 둘러쌓인
약소국가들에선 우리가 연합하면
강대국만큼 강해질수 있다…
라고 하지만 사실 그런 사례는
거의 없고 현실적이지도 않음.
그렇게만 흘러갔다면 역사상 있었던
수많은 전쟁은 일어나지 않았을테니까.
그렇다면 왜 여러 약소국들은 연합으로
하나의 강대국을 막지 못한것일까?
1. 리더쉽의 부재
[ 경쟁관계였음에도 나름 강대국에 맞서 연대도 해보고 온갖 시도를 해보았으나 단일 리더쉽 없이 강대국들에 의해 먹힌 이탈리아 도시국가들 ]
첫번째 약소국들의 연합 문제는 리더쉽의
실종이라는거임. 국력이 서로 도토리 키재기인
상황이니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듯
서로간의 이견에 따른 방향 설정을 할 수 없음.
간단하게 한국과 일본에서 일본은 엄연한
강대국이지만 한국 대비 압도적이지 못하고
과거사 문제등으로 확실한 리더쉽을 쥐지 못함.
이들이 뭉칠때는미국처럼 압도적으로 강력한
국가가 힘으로 깔아뭉갤때만 가능하고
역사적으로도 30년전쟁등 수많은
소규모 공국들은 어떤 한 국가가
주도적으로 집단을 이끌지 못하고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페인등의 강대국에
휘둘리고 철저히 유린당했음.
그리고 여기서 바로 두번째 문제임. 이렇게
리더쉽이 없는 상황에서 강대국에 쳐맞을때
나도 끌려들어갈지 아니면 빠질지라는
연루와 방기의 딜레마.
2. 동맹안보 딜레마
간단하게 한국이 사드사태때 본보기로
쳐맞아도 소위 중국과 척진다던 국가들은
나서지 않았음. 자유를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한다는
서유럽은 자국영토가 침공당하지 않고
우크라이나 그리고 우크라이나가 만약 밀려도
폴란드가 러시아에게 쳐맞아주기에
” 우리는 군비 부담을 희생할 필요 없고
서유럽까지 쳐들어오면 그때가서 생각해보지 ” 라는
여론이 팽배함.
자 그렇다면 강대국에게 먼저
쳐맞아야 되거나, 어그로를 담당해야하는 국가에겐
선택지는 두가지 남음. 1. 강대국의 풀파워를 그대로
쳐맞아주고 국가는 폐허에 수많은 국민이 죽은후
파탄 국가로 전락해가며 뒷짐 지는 우방(?)들 지키기
2. 강대국이랑 적당히 타협보거나 또는 강대국의
편을 들어 우방을 털어먹고 콩고물이라도 얻기.
2차대전 당시 체코가 분할될때도 독일뿐 아니라 나중에
피해자가 되는 폴란드도 2번을 택했고, 그 폴란드가
독일-소련에 쑥대밭 될 때도 영국과 프랑스는 폴란드를
시간벌이용으로 삼고 가짜전쟁을 치뤘음.
그리고 이 모든 역경을 이겨 내도 문제가 생김.
손익에 따른 이해관계임.
3. 비용과 분배
애초 대독일 포위망은 1차대전 독일이 전쟁을 일으키고
패배하자 동유럽의 약소국들과 벨기에 네덜란드등의
소국들이 침략받으면 강대국인 영국과
프랑스가 도와준다는 현재 나토등
수많은 집단안보체제의 효시격이었음.
그러나 결국 이들을 확실히 중재할 역량을
영국도 프랑스도 갖추지 못했고,
그랬기에 서로간 지켜줘야할 국가들이
뒤통수를 때리는 상황까지 가며
종국에는 오히려 영국과 프랑스가
역포위 당하는 상황이 연출된것.
왜냐면 위에서 말한 강대국과 접경한 국가가
먼저 쳐맞는 구조라 피해는 먼저 대항하는
국가가 보나 그 과실은 정작 멀리 떨어져서
[ 국제연맹의 붕괴중 주요 이유는 영국등의 체급이 독일등을 압도하지 못하고 지탱해야할 미국은 애초에 가입되지 않았기 때문 ]
가장 싸우지 않는 국가들이기에.
그리고 인간은 어느 생물과 같이 그를
통제하는 상위 권력이 없다면 자신의
생존과 이익에 부합하는 이기적 행동을 하기
마련이고 국가 또한 그러함.
[ 루이 14세에 맞선 대 프랑스 동맹에서 인적 물적 손실은 네덜란드가 컸으나, 이익은 영국이 보고 강대국으로 승천 ]
즉 압도적인 상위 국가가 없다면
전쟁과정에서의 손해와 이익
그리고 전후 분배에서도 피해를 안입고 국력을
신장한쪽이 다 가져가는 구조가 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약소국은 아니였으나, 국토는 전란에 휩싸이지
않고 인명피해는 가장 적은편이었던 미국이 2차대전때
질서 창조자로서 아예 나라가 점령당했던 프랑스는
2류 국가로 그리고 보유한 금과 식민지 군사기지까지
넘겨주며 저항한 영국은 식민제국을 상실하고
미국에 경제적으로 예속되는 결과를 보면서
알 수 있음. 자기보다 압도적인 강대국이
이끄는 상황이었음에도 이럴진데 서로 비등비등한
세력끼리의 연합에서는 더더욱 분열이 일어날수 밖에
[ 여러 다이묘의 이해 관계가 난립한 이시다 미츠나리의 서군 vs 1황인 도쿠가와가 부하들을 통솔한 동군 ]
없고 이게 뭉치면 강대국과 비슷하거나 또는 더 강할수도
있지만, 단일한 지휘체계하로 확실히 뭉친 세력에게
상대가 안되는것. 그래서 강대국에 맞서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자기 자신이 강대국이 되는거임.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