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Q. 한국의 재정정책은 지속가능한 경로에 놓여있나요?

디시인사이드 0
7fed8273b58068f551ee86e54680747343464ed4746f1ec8d2bc8abe5129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6d526a0bf049af3fd50d4b5b6f144866191e7303b80279a94aee7f44fd0b7c1bde0

Kang & Han (2024)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재정정책은 현재 국가채무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하고, 재정정책을 “수립하는 단계에서부터” 재정적 지속가능성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정적 지속가능성은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이자지출을 현재 지출 수준과 세부담 수준을 유지하면서 지불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됩니다. 저자들은 중기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채무 Fanchart를 생성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2012년과 2014년의 채무 Fanchart를 살펴보면 붉은 쪽은 중위 국가채무 영역을 상회하는 영역이고 푸른 쪽은 이를 하회하는 영역인데요, 당시에는 지속가능한 경로에 놓여있었습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6d526a0bf049af3fc53d4b5b6f14486be347349529b6edf3aa4f1adc551160df942

당연히 팬데믹 당시에는 전망범위를 확실히 벗어났고요.

국가재정운용계획만 본다면 2018년까지 국가채무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낮아졌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Great Moderation” 기간과 일치하는 현상이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6d526a0bf049af3fe54d4b5b6f14486fca3ed4614f5ba81b872a8817b2ab70ca6c8

그러나 문제는 디테일에 있습니다. 과거 수립됐던 국가재정운용계획은 경제전망을 다소 낙관적으로 하고, 재정적자와 국가채무에 관해서는 정책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제시했다는 비판(Kim & Park, 2015)이 있었는데, 이는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확인됩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6d526a0bf049af3f954d4b5b6f1448697a405c35b0502e965f140e944f494dae3d4

그래서 저자들은 팬데믹 이후 국가채무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에 재정적자 규모 자체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만 현실은 여러분들이 더 잘 알고 계실 것이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6d526a0bf049af2fc5bd4b5b6f144863d2e7fe1cb374e1e43c993f8956a04b1c6d5

S1 지표를 살펴보면 팬데믹 이후에도(Note: WHO에서는 ’22년에 팬데믹 공식 종식 선언) 유지되고 있고, 2023-2027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는 특히 2.5%를 초과해

“EU가 설정한 기준으로 재정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고위험국으로 분류”됐습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16d96d526a0bf049af2ff55d4b5b6f14486cf4086c5411756863b597616003264de61ea

그리고 이같은 현상은 단지 “목표가 낮아서”(DR) 그런 것이 아니라, “기초재정수지 적자가 커서”(IBP) 그런 것이므로, 현재 재정정책은 지속가능한 경로에 놓여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고 따라서 기초재정수지 흑자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게 됩니다.

마지막 결론은 Barigozzi et al. (2025)에서 유럽의 성장 문제에 대해 논의하면서 했던 코멘트를 발췌하면서 끝내봅시다:

(…) when our measure of the output gap suggests that the EA economy was tighter than estimated by either the EC or the IMF. Moreover, we find that growth financed through household debt is not sustainable in the long run.

(…) Hence, if the goal is to achieve better economic conditions in the EA, its member countries should implement supply-side structural reforms that have long-run effects, while policies aiming at stimulating aggregate demand will have only short-term effects at best.

요약컨대, 부채가 주도하는 성장, 특히 가계부채에 의해 견인하는 성장은 지속가능하지 않고, 성장을 위해 총수요를 자극하는 것은 기껏해야 단기적 효과에 그칠 뿐입니다.

출처: S&P 500 갤러리 [원본 보기]

댓글0

댓글0

300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팰리세이드로 오프로드를?” 험로 주행 특화 패키지 국내 출시되나 주목
  • “4천만 원대 아빠차 대전” 팰리세이드 깡통 VS 싼타페 풀옵, 둘 중에 뭐 살까?
  • “가성비 따져도 이건 못 놓쳐” 아이오닉 9, 깡통 트림추천 옵션 패키지
  • [컨콜] KT “자회사 전출 인력 급여, 기존 기본급 70% 수준”
  • 푸른 동해를 품은 휴식, 낙산비치호텔에서의 특별한 하루
  • 절대음감, 타고나지 않아도 얻을 수 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망하려고 기를 쓰네.. 결국 터질 거 터졌다는 경차 시장 충격의 근황
  • 단돈 ‘1천만 원’.. 중국서 넘어온 충격 가격의 마이바흐, 정체가 무려..
  • “팰리세이드로 오프로드를?” 험로 주행 특화 패키지 국내 출시되나 주목
  • “4천만 원대 아빠차 대전” 팰리세이드 깡통 VS 싼타페 풀옵, 둘 중에 뭐 살까?
  • “가성비 따져도 이건 못 놓쳐” 아이오닉 9, 깡통 트림추천 옵션 패키지
  • [컨콜] KT “자회사 전출 인력 급여, 기존 기본급 70% 수준”
  • 푸른 동해를 품은 휴식, 낙산비치호텔에서의 특별한 하루
  • 절대음감, 타고나지 않아도 얻을 수 있다?

추천 뉴스

  • 1
    뉴진스 "한국 언론, 우리에게 관심 없어...굴하지 않겠다"

    연예 

  • 2
    '69억 빚 청산' 이상민, 김지현·채리나와 '룰라' 재결합..."정말 멋진 무대"

    연예 

  • 3
    구준엽, 故서희원 잃고 건강 악화...中매체 대대적 보도

    연예 

  • 4
    유명 여배우, 딸 때문에 전남편 빚 ’17억’ 떠안더니…’파산 신청’

    연예 

  • 5
    '나솔' 24기 영식 "스토킹 살인·범죄자 취급...힘들다" 악플 고통 호소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은지원, 연하 女배우와 핑크빛 기류...?

    연예 

  • 2
    양세형, 동생 양세찬 ‘갑상선암’ 판정에 심장 덜컥… 진짜 눈물 납니다

    연예 

  • 3
    '故 김리을 절친' 이홍기 "지금 만나러 갈게"...절친 떠난 뒤 무너졌다

    연예 

  • 4
    “내 남편♥” 박봄, 이민호 사진 공개하며 폭탄 발언… 팬들 깜짝

    연예 

  • 5
    “월 300 우습게 보는 놈들…” 온라인서 화제된 직장인 월급에 네티즌 반응

    연예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