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ㅇㄷ) 흑연에서 연필 만들기
1차적으로 흑연광산에서 흑연을 채취해줌.
이걸 잘게 부순 뒤 물과 기름을 넣어 섞어줌
그러면 흑연입자가 공기방울에 달라붙어 액체 표면에 뜨게 되는데 이걸 그냥 건져내면 됨
300도에서 30초간 말려주면
고운 흑연 입자가 탄생하게 됨
이후 이걸 점토와 섞어주는데 점토와 흑연 비율에 따라 HB, 2B, 4B 이렇게 나뉨.
흑연이 많을 수록 진해진다고 생각하면 됨
그럼 이런 흑연 점토가 뭉쳐서 조그마한 구체가 될텐데
이걸 프레스로 눌러 줌
그러면 이런 흑연 원통 기둥이 만들어지고 이걸 일주일 동안 따로 보관해서 경화시켜 줌
이걸 압출기를 사용해서
이렇게 가느다란 우리가 아는 연필심으로 뽑아줌
하지만 지금 연필심은 매우 무르기 때문에
이걸 한번 구워주는 작업을 해야함
160도에서 12시간 구워준다고 함
그 뒤엔 품질 향상을 위해서 연필심 입자 사이사이에 왁스를 넣어주는 공정을 거치게 되고
우리가 아는 연필심으로 완성됨.
이후엔 샌드위치 처럼 나무에 붙여주던가
현대적인 연필처럼 합판 두개를 합쳐서 깍아내는 방식으로 연필을 만들 수 있음.
요약
1. 광산에서 흑연 채굴(최소 순도 30% 이상)
2. 잘게 부숴주기
3. 물, 기름과 섞은 후 위에 뜨는 흑연 입자를 수거
4. 수거한 입자를 300도에서 30초 건조
5. 이후 원하는 비율에 따라서 점토랑 섞어줌
6. 만들어진 흑연 분말 덩어리를 프레스로 눌러서 원통 기둥으로 만들어줌
7. 일주일동안 따로 보관해서 경화
8. 압축 프레스로 가느다랗게 뽑아냄
9. 길이에 맞게 잘라내고 160도에서 12시간 건조
10. (굳이 안해도 되지만) 연필의 선명함을 위해서 왁스를 입혀줌
11. 나무와 결합
완성
한국 진천에도 흑연 광산이 있지만 몇십년 캐더니 단가 문제로 중단했고
간도 지역에도 질좋은 흑연이 엄청나게 많이 채취됨.
출처: 대체역사 갤러리 [원본 보기]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