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부품 사용하지만 더 비싸다고요? 시총 ‘뚝’ 떨어진 국내기업
갤럭시S25 공개
타사 AP 전량 탑재
시가총액 156조 감소

삼성전자가 오는 22일 공개할 갤럭시S25 시리즈의 가격이 갤럭시S24 시리즈보다 100유로(약 15만 원) 가량 오른 금액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10일 이탈리아 유통 사이트인 자네티(Zanetti)에 따르면 갤럭시S25 기본 모델 128GB 용량 제품의 최저 가격은 973유로(약 146만 원)이며, 가장 비싼 갤럭시S25 울트라 1TB 용량 제품 가격은 1,948유로(약 292만 원)로 책정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가격 인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와 관련이 있다. AP는 PC에서 CPU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CPU와는 달리 그래픽처리장치(GPU), 통신용 칩, 센서, 디스플레이, 멀티미디어 등 여러 기능을 하나로 합친 SoC(System on chip)로 만들어진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와 미국 회사 퀄컴의 AP를 지역별, 기종별로 병용하여 탑재하면서 원가 부담을 줄여왔다. 엑시노스는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가 설계하고, 파운드리 사업부가 생산하는 자체 생산 모델이다. 갤럭시 S25 시리즈에서도 이러한 엑시노스와 타사의 퀄컴을 병행하여 탑재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갤럭시S25 시리즈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 중이던 ‘엑시노스2500’의 제작이 완성품 비율 문제로 불투명해지면서 퀄컴의 스냅드래곤8 엘리트를 전량 탑재하게 됐다.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은 퀄컴에서 2024년 10월 22일 열린 스냅드래곤 서밋에서 공개한 AP이다. 이 여파는 주기판으로까지 이어졌다.
엑시노스가 탈락하고 퀄컴이 독식하게 되면서 국내 협력사들이 뒤로 밀려났다. 퀄컴 AP 채택이 늦게 결정되면서 엑시노스2500부터 준비해 온 코리아써키트, 디에이피 등 국내 업체들의 승인이 늦어지는 결과가 일어났다.
이에 따라서 중국 회사인 패스트프린트가 고밀도다층기판(HDI)를 우선 공급하게 됐다. S25 생산량인 전체 3,000만대의 초도물량 중 1,000만대를 독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패스트프린트가 삼성전자 스마트폰 HDI를 생산 중인 베이징 공장은 지난 2022년 12월 일본 이비덴에서 인수한 공장이다. 이비덴은 고부가 반도체 기판인 플립칩(FC)-볼그리드어레이(BGA) 등 인쇄회로기판(PCB) 기술력이 앞선다는 평가를 받았던 회사이다. 패스트프린트가 해당 공장을 인수한 뒤에도 공장에 근무했던 인력 이탈이 적어 기술력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모바일 D램에서도 외국산 부품의 비중이 높아졌다. 갤럭시S25용 D램 초도 물량을 삼성전자가 아닌 마이크론이 대부분 공급한다. S25에 탑재되는 메모리인 LPDDR5X의 개선을 위해 제조 공정이 13나노미터(nm)에서 12nm로 변경되면서 생긴 발열 이슈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공정 문제를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도는 늦었으나 공급량을 늘려 전체 물량에서 역전을 노리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해당 시리즈 모델에는 해외 기업의 부품들이 대거 채택될 예정이다. 이에 전통적으로 한국 기업이 강세를 보인 부품까지 외산으로 밀린 것으로 드러나 산업 경쟁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편, 작년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156조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메모리 사업부 경쟁력의 저하로 매출액의 감소가 시총에까지 이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에서 작년 4분기 잠정 실적에 따르면 매출액 75조 원, 영업이익 6조 5,000억 원을 기록하면서 평균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돌았다. 메모리 경쟁사인 SK하이닉스는 1년 새 21조 원 넘게 시총이 늘어나면서 체격이 커진 모양새와는 대비된다.

이에 따라 증권사들 또한 삼성전자의 목표 주가를 잇달아 낮추면서 불안감이 조성되는 모양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삼성전자에 대한 리포트를 낸 11개의 증권사 중에서 대다수인 9개의 증권사가 목표 주가를 하향 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경제의 보도에 따르면 이민희 BNK 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실적 부진의 주원인은 반도체 부문의 수익성 악화”라며 “시스템 LSI 사업 부문은 4분기에만 2조 3,300억 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