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야, Author at 디패스트 - Page 84 of 132
이슈야 (3158개 글)
-
-
-
-
-
-
-
-
-
오히려 해체 후 재결합으로 떡상했던 락 밴드
보컬이나 작곡의 비중이 높은 밴드는 인기가 많아지면 대부분 보컬이 나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보컬이 바뀌면서 자연스레 인기가 사그라들고 해체 하는 경우도 생겼는데 지금 이야기 하려는 밴드는 위와 같은 이유는 아니지만 해체 후에 5년만에 재결합을 하고 오히려 떡상을 한 케이스다 2001년에 데뷔한 위의 밴드는 2008년 해체 전까지 다수의 히트곡을 남기며 미국 전역에서 이름을 날렸다. 2005년 Sugar, We're Goin Down, Dance, Dance를 시작으로 I don't care, beat it , Thnks fr th mmrs 등 오리지널 락과는 다른, 어느정도 팝 향이 섞여있는 노래를 내며 승승장구했지만 그린데이가 그랬던 것 처럼 오리지널 락을 선호하는 팬들에겐 이게 무슨 락이냐는 소리를 들으며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래 자체가 매니악 하지 않았기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던 중 2008년 즈음에 활동을 중단하고 대외적으로는 휴식이라는 이름 하에 각자 도생을 하기 시작했다. 2013년 재결합을 했을때 알려진 이야기로는 유행에만 따라가야하는 곡 특성, 그리고 밴드활동 등의 몇가지 이유로 휴식이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중단했던 것이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밴드 활동을 안한거 보면 거의 해체라고 보는게 맞기는 한데 일단은 휴식이라고 계속해서 이야기를 했었다. 그리고 다들 각자 도생을 했었는데 다들 이혼을 한다거나 우울증에 걸리는 등, 순탄치 않았고 결국 보컬을 필두로 다시 재결합을 했다. 재결합 하고 달라진 이들은 2013년, 본인들만의 락을 하기로 결정했고 이전에 앨범들을 불태우는 사진을 올리며 복귀를 알렸다. 그리고 Save Rock and roll, 락앤롤을 구한다는 제목으로 앨범을 냈고 이들의 첫 노래가 2013년 4월에 발매 된다. 쇼스타코비치 7번 교향곡에서 따온 인트로를 시작으로 낸 곡은 대 인기를 끌었고 철 지난 장르의 왕이라 불리우던 자들의 르네상스 라는 극찬과 함께 이들은 이 앨범으로 빌보드 1위를 찍는다 그렇다 폴아웃 보이다
-
-
-
-
-
-
-
-
-
유명한 "이순신 장군 밥상"의 결말
"이순신 밥상"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을 비롯한 조선 수군에서 먹었던 음식을 평상시, 훈련 중 등 9가지 형태별로 구분해 놓은 것이다. 이순신 밥상은 경상남도에서 "이순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하여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을 비롯한 조선 수군에서 먹었던 음식을 난중일기 등의 문헌을 바탕으로 복원사업을 추진하여 "숙명여대 한국음식연구원"이 철저한 고증을 거쳐 2009년 7월 77종의 음식으로 복원한 것이다. 숙명여대 한국음식연구원이 경상남도의 의뢰를 받아 이순신 프로젝트로 복원한 "이순신 장군 밥상"은 발표로부터 십년도 넘었는데도 커뮤니티에 자주 올라올만큼 유명한데, 과연 그 결말은 어떻게 되었을까? 이순신 장군이 평소 즐겨 먹은 음식: 종가집 음식, 통영과 여수 향토 음식 종가집 음식: 장국밥, 어육각색간랍, 장김치, 멸치젓, 양탕, 육산적, 호박국수, 고추부각조림, 고둥간장조리, 무청장아찌, 얼린무장아찌, 제주 등 통영 향토 음식: 멍게비빔밥, 충무김밥, 해물비빔밥, 톳나물밥, 전복죽, 뱅어국, 해물탕, 상사리국, 명란젓찌개, 민어찌개, 생멸치찌개, 전복김치, 고구마순김치, 돌나물물김치, 볼락무김치, 방풍탕평채, 개조개유곽, 가자미조림, 장어구이, 해삼통지짐, 홍합초, 생멸치전, 굴찜, 멸치회, 멍게회, 문어회무침, 피조개회, 멍게튀김, 미역튀김, 전복장아찌, 전어밤젓, 대구모젓, 어리굴젓, 홍합젓, 유자청떡, 비빔떡, 통영약과 등 여수 향토 음식: 백합죽, 미역수제비, 바지락수제비, 매생이국, 고들빼기김치, 돌산갓김치, 청각김치, 풋마늘김치, 청각나물, 콩나물몰무침, 톳두부무침, 무나물, 박나물, 굴구이, 굴전, 홍합꼬치, 서대찜, 서대회, 우렁이회, 가오리회, 전어회무침, 꼴뚜기젓, 전어속젓, 볼락구이, 굴젓, 꽃게장, 벌떡게장 등 정3품, 전라좌도 수군 절도사로서 평시 먹은 음식(임진왜란 발발 전) 쌀밥, 홍합미역국, 봉총찜, 산갓침채, 청어국, 볼락어젓, 방풍나물, 다시마좌반, 청어젓, 무염침채 등 정3품, 전라좌도 수군 절도사로서 평시 훈련 중 먹은 음식(임진왜란 발발 전) 보리밥, 와각탕, 청어구이, 과동과, 도다리쑥국, 팽계법, 전계아법, 해탕, 전작, 전복쌈, 장짠지 등 정3품, 전라좌도 수군 절도사로서 평시 중앙 관리 접대 음식 수어찜, 외화채, 대합구이, 연육탕, 태면, 대구 껍질 누르미, 노루고기 포, 동아선, 꿩김치, 침백채, 김자반 수박, 과하주 등 임진왜란 발발 후(전시), 전투 중 먹은 음식 주먹밥, 통영비빔밥, 산나물밥, 콩가루주먹밥, 된장주먹밥, 굴밥, 다시마밥, 미역밥, 산나물죽 등 임진왜란 발발 후(전시), 전투 승리 후 먹은 음식 석화죽, 숭어전, 설야멱, 육포(사슴고기), 약과, 칠향계, 개장국 누르미, 생치편포, 별비(족편), 대합회, 칡떡, 증편, 송고병, 소주 등 백의종군 당시 먹은 음식 보리밥, 연포탕, 고사리나물, 과동침채, 쑥국, 재첩국, 고사리 들깨국, 취나물 등 아플 때 먹은 음식 멥쌀죽밥, 수포탕, 더덕좌반, 과동침채, 타락죽, 삼합미음, 기방, 약대구 등 "이순신 장군 밥상"은 이러한 구성의 임진왜란 발발 전, 시대 구분상 "조선시대 전기" 형식의 음식들이다. 되살아난 충무공의 식탁…`이순신 밥상' 개점 경상남도는 오는 9일 통영시 용남면 화삼리에 '이순신 밥상' 1호점을 개점한다고 6일 밝혔다. 특히 1호점 통선재는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타고 왜구를 무찔렀던 한산도 앞바다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어 주민과 관광객들은 왜란 당시 나라를 지킨 이순신 장군을 떠올리며 전통 음식을 즐길 수 있다. 통영시 측은 오는 14~15일 서울 양재동 AT 센터에서 열리는 2010년 서울세계관광음식박람회에 이순신 밥상을 출품하는 등 홍보를 계속하는 한편 2~3호점을 추가로 공모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속적인 홍보와 관리를 통해 이순신 밥상을 경남의 대표적인 음식 브랜드로 육성하고 전통 음식의 세계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경상남도는 이러한 구성의 "이순신 장군 밥상"을 경상남도의 대표 음식화, 관광 상품화할 생각이였던 것 같다. 통영 ‘이순신 밥상’ 1년도 안돼 문 닫은 까닭은? 아쉽게도 경상남도가 추진한, 철저한 연구와 고증을 통해 탄생한 "이순신 장군 밥상" 음식점은 1년도 안되어 실패해버리고 만 것 같다. 어째서 철저한 고증의 맛과 한산도 앞바다라는 위치적 역사성까지 갖춘 "이순신 장군 밥상" 음식점은 실패하고 만것일까?? 무엇보다도 과거의 입맛과 현대인의 입맛이 다른 데도 불구하고 과거에만 집착한 게 원인이라는 주장이 많다. 숙명여대 한국음식연구원은 고증을 거쳐 이순신 밥상을 개발하면서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상품화했다고 하지만 인공조미료를 못쓰게 했다. 심지어 한 컨설팅 업체의 한 교수는 고추가 조선조 광해군 시절 우리나라에 들어와 임진왜란 때는 고추가 없었다며 고춧가루 사용금지, 김치는 백김치만 사용토록 했으니 사업성이 있겠냐는 반응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고증을 너무 훌륭하게 살린 나머지, 현대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국민 향신료(고추)와 현대적인 조미료도 없는 "진짜 조선 전기 시대의 맛" 음식이 되어버린데다가 그렇다보니 음식값도 비싸져서 망하게 되어버린 것이였다...
-
-
-
-
-
-
당신을 위한 인기글
추천 뉴스
-
1
88즈 첫인상 투표 결과... 지드래곤 최다득표→김수현 1표→임시완 0표 굴욕('굿데이')[종합]
-
2
'종영' 공효진, 우주서 출산 후 사망…이민호 "우주=무덤이자 자궁" (별들에게 물어봐) [종합]
-
3
토니 안, '삐끼삐끼' 노래 원작자였다… "저작권 등록 안 해 0원 벌어" ('미우새')
-
4
EXID 엘리, 故신사동 호랭이 1주기에 묘소 찾았다... "부디 평안하길"
-
5
김소연X바다, 故이은주 20주기 기리고 모친 챙겼다... 한결 같은 우정
지금 뜨는 뉴스
-
1
"마이 보이프렌드" 이영자, 황동주 선택에 팔짱+백허그까지 '달달' ('오만추')
-
2
안재욱, 엄지원 오해하나... 최병모 "재산 노리고 술도가 대표차지" 음해('독수리')[종합]
-
3
"난 할아버지잖아" 허영만, 제작진 만류에도 후지이 미나 등 떠밀고 '졸졸' ('백반기행')
-
4
후배 때린다고 소문났던 ‘센 언니’가 38만 원짜리 결혼식 올렸던 이유
-
5
윤경호, 붕어빵 아들 깜짝 공개…이이경과 타란툴라 교미 직관 '박수' ('핸썸가이즈')
댓글 많은 뉴스